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청소년상담사3급 응시자격 준비방법(4년제 대졸/전문대졸)

728x90
반응형

청소년상담사3급 응시자격 준비방법

 

안녕하세요

교육부에서 정식 승인 받은

교육훈련기관의 학습플래너

두리쌤입니다!

 

요즘 무한경쟁 구도와 취업난으로 인해

청소년들도 많은 스트레스를 겪고 있고

 

심리적으로 고통 받고 있는

청소년들이 많은 상황인데요.

 

그로 인해 청소년쉼터나 청소년수련관 등

여러 기관에서 청소년상담사를 필요로 하고 있어요.

 

따라서 오늘 청소년상담사가 되기 위해 필요한

청소년상담사3급 자격증 시험에 응시하기 위한

자격을 효율적으로 갖추는 방법을 말씀 드리려 해요.

 

청소년상담사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포스팅을 차근차근 읽어보시기 바라요!

 

 

먼저 청소년상담사3급 응시자격은

상담분야 4년제 학사학위 보유자가

해당되는데요.

 

여기서 상담분야에 해당되는 전공은

청소년학, 교육학, 심리학, 사회복지학,

아동학 등의 전공들이 해당돼요.

 

따라서 위의 전공으로

4년제 대학교를 졸업한 사람은

따로 자격사항을 갖출 필요가 없지만

 

최종학력이 고졸 혹은 전문대졸이거나

학사학위 보유자 중 비전공자의 경우

청소년상담사3급 응시자격을 갖춰야만

자격증 시험을 볼 수 있으실 텐데요.

 

학력 및 전공에 상관없이

청소년상담사3급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오늘 말씀 드리려 해요!

 

 

오늘 소개해드릴 제도는

바로 학점은행제도예요.

 

학점은행제도를 활용하면

청소년상담사3급 응시자격을

누구나 기간과 비용 면에서

효율적으로 갖출 수 있는데요.

 

제도에 대해 먼저 설명 드린 뒤

고졸, 전문대졸 / 비전공 졸업자로

구분해서 청소년상담사3급 응시자격을

갖추는 방법을 말씀 드리도록 할게요.

 

 

학점은행제란 학교 안팎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학습 및 자격을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고

 

학점이 누적되어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학위 취득이 가능한 국가교육제도에요.

 

여기서 다양한 형태의 학습 및 자격이란

전적대 학점/자격증/독학사 시험을 말하며

위의 학점취득 방법들을 강의 수강과

병행하면 학위취득까지의 기간과 비용을

단축할 수 있어요.

 

 

이제 학점은행제도를 활용하여

청소년상담사3급 응시자격을 갖추는

방법에 대해 설명 드릴게요.

 

4년제 대학교 졸업자 중 비전공자는

학점은행제의 타전공 학위취득 제도를 통해

전공수업으로 48학점만 추가로 취득하면

청소년상담사3급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어요.

 

그리고 학점은행제는 학기당 최대

8과목까지 수강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소 2학기 과정으로도

청소년상담사3급 응시자격을

갖출 수가 있답니다.

 

 

전문대졸 학력의 경우엔

청소년상담사3급 응시자격을 위해선

140학점의 이수가 필요해요.

 

전공 60학점/교양 30학점을 포함하여

140학점을 이수해야 학사학위의

취득조건을 만족하게 되는데요.

 

전문대 졸업자나 대학 중퇴자는

이전 대학에서 이수한 학점들을

학점은행제 과정으로 가져와서

활용할 수 있고

 

2년제 졸업자는 최대 80학점까지

전공이 다를 경우 보통 60학점의

활용이 가능해요.

 

, 교육부장관이 지정한 자격증도

최대 3개까지 학점활용이 가능하며

(전공에 따라 개수엔 차이가 있음)

 

마지막으로 출석, 과제 없이

시험만으로 학점 취득이 가능한

독학사 시험을 응시하는 방법으로도

학점을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최종학력이 전문대졸인 분들은

청소년상담사3급 응시자격을

비교적 짧은 기간에 갖출 수 있어요.

 

 

지금까지 학점은행제 및 독학학위제를 통해

청소년상담사3급 응시자격을 효율적으로

갖출 수 있는 방법을 말씀 드렸는데요.

 

청소년상담사3급 응시자격이 필요한 분들 중

상담을 원하시는 분들은 아래의 배너를 통해

상담요청을 해주시기 바래요.

 

학점은행제/독학학위제 관련 상담은

별도 비용 없이 진행되며 비용과 기간 면에서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도움 드리겠습니다.

 

728x90
반응형